#1. 왜 왕따를 당했느냐고? 나도 그게 궁금해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중학교 2학년 때까지. 나는 이름 대신 ‘거지’라고 불렸다. 내가 거지처럼 더럽고 냄새가 난다나. 같은 반 아이들은 물론, 얼굴 한 번 본 적 없는 다른 반 아이들도 나와 마주칠 때마다 “거지야!”라고 소리쳤다. 애들은 내 책을 바닥에 던지고, 필기 노트를 훔쳐가는가 하면 비 오는 날 우산을 뺏어가기도 했다. 물을 뿌리거나 지우개 가루를 던지는 일도 허다했다.
한번은 누군가 내 코트에 달린 모자에 과자 부스러기를 한 움큼 넣어 놓은 적도 있었다. 모자를 뒤집어쓰자, 머리 위로 과자 부스러기가 쏟아져 내렸고 아이들은 그 모습을 보며 깔깔댔다. 억울하고 화가 났지만 내가 할 수 있는 거라곤 화장실로 뛰어가 머리카락에 엉겨 붙은 과자 부스러기를 떼어내는 것뿐이었다.
왜 이런 괴롭힘을 당했느냐고? 지옥 같았던 지난 5년의 이야기를 용기 내어 누군가에게 털어놓으면 늘 이런 질문이 돌아온다. 글쎄… 나도 궁금하다. 내가 못생겨서? 뚱뚱해서? 아니면 소심해서? 사실 이런 질문은 학교 폭력 피해자인 내가 아니라 가해자들에게 물어봐야 하는 거 아닌가. 대체 아무 잘못 없는 아이를 왜 괴롭혔느냐고 말이다. 사람들이 따돌림의 이유를 내게 물어올 때마다 괴롭힘당할 만한 이유가 있었는지 추궁하는 것만 같아 자책하게 된다.
#2. 플라스틱 수저로 내 손목을 찍은 사연
아침마다 눈 뜨는 게 고통스러웠다. 학교에 가야 하니까. 하루는 학교 가는 게 너무 끔찍해서 아이스크림을 사면 주는 플라스틱 수저를 부러뜨려 손목을 찍은 적도 있었다. 죽을 만큼 세게 찍진 못해 손목이 부어오르는 정도의 상처만 입고 끝나긴 했지만. 그땐 죽는 것마저 제대로 못 하는 내가 미웠고, 그런 상황이 절망스러웠다.
더는 견딜 수 없다고 느꼈을 때, 담임 선생님께 도움을 요청했다. 그동안 있었던 일을 털어놓자, 선생님은 정말 아무것도 몰랐는지 많이 놀라셨다. 그러곤 다음 날, 아침 조회 시간에 반 아이들에게 말씀하셨다. 우리 반에서 따돌림당하는 친구가 있다는 걸 알고 있다고, 같은 반 친구끼리 그러면 안 된다고, 하지 말라고. 그 외에 별다른 조치는 없었고, 따돌림은 계속됐다.
선생님조차 외면한 내가 학교 폭력의 긴 터널을 벗어날 수 있었던 건 중학교 2학년 때 만난 친구 덕분이었다. 번호 순서대로 짝을 정했는데 우연히 그 친구와 짝이 됐고 우리는 친해졌다. 나에게 친구가 생기니 그 후론 누구도 나를 괴롭히지 않았다. 딱 한 명, 내게 손 내밀어줄 친구 딱 한 명만 있다면 해결될 일이었는데…. 내 학창 시절을 괴롭힌 따돌림은 그렇게 허무하게 끝났다.
#3. 장난이라고? 그건 폭력이었어
5년이 흘렀다. 그사이 대학에 왔고, 친구도 사귀었다. 겉으론 평범한 대학생처럼 보이는 삶을 살고 있다. 그러나 학교 폭력의 기억은 아직도 내 일상에 영향을 미치는 중이다. 나 없이 모여서 수다를 떨고 있는 친구들을 보면 ‘내 얘기 하나? 혹시 내가 뭘 잘못했나?’ 착각하고 불안에 떤다. 그러다 보니 친구들 주변을 떠나지 않으려 하는, 지나치게 집착하는 아이가 되어 있었다. 그때의 기억으로 여전히 인간관계를 맺는 것이 가장 어렵고 힘들다.
나는 이렇게 힘든데… 가해자들은 잘 살고 있을 거란 생각을 하면 억울하다. SNS를 통해 그들의 소식을 알아볼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지 않았다. 잘 살고 있다면 너무 절망스러울 것 같아서. 사과 받고 싶은 생각조차 들지 않는다. 그들로부터 어떤 소식도 듣고 싶지 않다. 내 인생에 다시 나타나지 않는 것, 내가 가해자들에게 바라는 건 오직 이거 하나뿐이다.
가끔 뉴스에서 학교 폭력 소식을 접한다. 가해자들은 한결같이 “장난으로 한 일”이라고 변명을 한다. 학교 폭력 가해자였던 과거가 밝혀진 연예인들은 사과 한 번으로 그때의 잘못을 너무 쉽게 청산해버린다. 그 ‘장난’으로 인해 누군가는 죽을 만큼 힘든 삶을 살고 있다는 건 안중에도 없다는 듯이. 그건 장난이 아니라, 폭력이라고. 혹시라도 이 글을 읽으며 자신의 과거를 미화하고 있을 가해자들에게 꼭 말해주고 싶다.
* 학교 폭력 피해자였던 20대와의 인터뷰를 재구성했습니다.
[901호 -20’s story]
진짜 호주를 만날 시간
연세우유크림빵과 드라마 덕후라면서요...?
티젠 콤부차 부스에 가다
재미있게 살고 싶다면 매일이 축제라고 생각하며 살아보자.
대학 축제라는 것이 행복한 대학 생활의 추억이 되었으면 좋겠다.
메인 스폰서로 등장한 본디(Bondee)
5월의 문화 리뷰
면접 꿀팁부터 복지까지, 맥도날드 인사팀이 말하는 찐 채용 정보 A-Z.
대학 축제 시즌이면 가장 바빠지는 '부동의 축제왕' 권정열
팬심 폭발하게 만든 ‘메이플스토리 20주년 팬 페스트’ 후기
"축제는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행복의 집합체다"
어디서도 보지 못한 친절하고 정직한 뷰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