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싫어하는지’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자기 안에 잘 정리된 서랍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다.

‘왜 싫어하는지’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자기 안에 잘 정리된 서랍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다.

 

어렸을 땐 멋진 어른이 되는 게 꿈이었다. 어른이 되면 다 멋져지는 줄로만 알았던 게 함정이지만. 오류는 빨리 수정됐다. 사회적 관계망에 접어들어 멋지지 않은 어른들의 모습을 목격하면서 실망할수록, 다짐은 오히려 단단해졌다.

 

멋진 어른이 되는 게 이렇게 힘든 일이라면, (나라도) 멋진 어른이 되어야지. 동경하던 어른에게 실망하거나, 가까운 어른에게 상처 입거나, 처음 만난 어른에게 부당한 대우를 받을 때마다 생각했다. 지금 돌아보면 한참이나 뭘 모르던 시절의 야무진 다짐이었구나 싶다.

 

그리하여 지금 내 (다짐도 아닌) 바람은 오직 하나다. 더 나빠지지만 말자. 100세 시대이므로 지금보다 더 나빠질 위험으로부터 나를 지켜내긴 더욱 어려워졌다. 어렴풋이 셈해봐도 70년 정도는 성찰과 경계의 자세로 살아야 한단 소린데, 그 길이 지루하고 고단해서라도 중도 포기하고 싶어질 것 같다.

 

시간이 쌓일수록 분별은 쉬워지는 게 아니라 어려워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때 가서 과연 나의 주장이 소신인지 아집인지, 누군가에게 하는 조언이 사려 깊은 충고인지 안 하니 못한 참견인지 제대로 분별할 수 있을까? 그걸 분별하는 게 어른의 일 아니냐 묻는다면, 여기서 또 다시 오, 나의 멘토님—소설가 김연수의 말을 인용하지 않을 수 없다.

 

“사람이 어렸을 때는 뭘 잘 모르다가 나이가 들면서 점점 아는 게 많아지잖아요. 그렇다면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지혜로워지다가 가장 훌륭한 사람으로 죽을 수 있다면, 그런 게 사람이라면 지나간 시간을 돌아보면서 무슨 말이라도 하겠는데요. […] 단지 뛰어난 사람들만이 시간이 갈수록 좋아질 수 있어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빠질 가능성이 더 많아요. 조금만 방심하면 나빠지게 돼있는 게 인간이거든요.” 

 

그런 것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아는 게 많아질수록 우리가 점점 지혜로워진다면 누구나 그 사람 생의 ‘가장 훌륭한 사람’인 상태로 죽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미 안다. 그게 얼마나 어려운 일이며, 실제로 그런 사람이 얼마나 적은지를.

 

뭇 어른에 대한 실망이 멋진 어른에 대한 포기로 이어진 가장 큰 이유는, 내가 느낀 실망들이 모두 내가 이미 아는, 내가 가진 모습들에서 왔기 때문이다. 어렸을 적 헤르만 헤세의 문장을 보고 느꼈던 최초의 충격이 떠오른다.

 

‘만일 당신이 누군가를 미워한다면, 당신은 그 사람 안에서 당신의 일부인 어떤 점을 발견하고 미워하는 것이다.’

 

지금 생각하면 그리 새로운 말도 아닌데 그때의 내 가치관이란 성냥으로 탑을 쌓듯 얼기설기한 것이어서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싫은 건 싫은 줄로만 알았지 그것과 나를 연결시키진 못했던 것이다. 아, 내가 싫어한 것들이 다 내가 가지고 있는 것들이구나. 그 최초의 각성은 얼얼한 깨달음과 함께 왔다. 당연한 말이다. 무언가를 싫어한다는 것은 ‘알아본다’는 것인데, 내가 모르는 것을 알아볼 수는 없다. 저 저열함을, 저 무례함을, 저 비겁함을 모르고서 싫어할 수는 없다. 그래서 이제 나는 무언가를 싫어할 때, 또한 두려워진다. 이것은 내가 아는 저열함이구나. 내가 가진 비겁함이구나.

 

그런데도 무언가를 싫어하며 그 싫음을 공적으로 표현할 때 우리는 대체로 ‘나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나는 저 사람과 달라, 라는 기저가 그 비난의 목소리에 힘을 싣게 한다. 그렇지만 과연 우리가 모르는 것을 알아볼 수 있었을까?

 

누군가의 비겁함을 싫어할 때, 우리는 그것을 알아보는 내안의 비겁함에 눈을 내어주고 있는지도 모른다. 내 안의 비겁함이 눈을 뜨고 바깥의 비겁함을 바라보는 것이다. 그래서 두 가지가 중요해진다. 하나는 내가 싫어하는 것들이 실은 내 안에도 존재하는 것들이라는 것을 인정하는 것. 그리하여 무언가를 싫어할 때 혹은 누군가를 싫어할 때 그 모습이 문득문득 내게 발현되진 않는지 경계하는 것.

 

두 번째는 ‘왜 싫어하는지’ 아는 것이다. 싫어 하는 것을 왜 싫어하는지 아는 것은, 좋아하는 것을 왜 좋아하는지 아는 것보다 중요하다. 좋아하는 것은 사실 그냥 좋아도 된다. 좋아함의 층위에서 “그냥 좋아”라는 말은 있을 수 있지만, “그냥 싫어”라는 말은 있을 수 없다(는 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그냥 좋아” 는 좋다는 감정이 그 모든 이유를 넘어선다는 얘기로도 들리지만, “그냥 싫어”는 더 들여다보지 않겠다는 말로 들린다.

 

왜? 불편하니까. 싫은 것은 나를 불편하게 하니까. 그러나 ‘왜 싫어하는지’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자기 안에 잘 정리된 서랍을 가지고 있는 것과 같다. 어디에 무엇이 들어 있는지 아는 사람. 나의 호오를, 무엇을 견딜 수 있고 무엇은 도저히 그럴 수 없는지를, 나의 가치관에 나란한 것과 반하는 것을 가지런히 정리해서 가지고 있는 사람. 그런 사람이라면 자기 자신을 오해할 가능성도 훨씬 낮을 것이다.

 

온라인상에서 자기소개 공란을 채워 넣어야 할 때, 캐주얼한 자리에서 몇 마디 말로 나를 소개해야 할 때, 좋아하는 것들을 나열하는 것은 우리가 흔히 쓰는 방법이다. 내가 좋아하는 것들이 곧 나를 설명할 수 있는, 나를 이루고 있는 부분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그것과 비슷한 비율로, 싫어하는 것들 역시 나라는 사람을 이루는 부분들이다. 내가 싫어하는 것들의 목록은 어쩌면 내 안의 터에 자라는 잡초 같은 것인지도 모른다. 수시로 들여다보며 제때 뽑아내지 않으면, 한 번 내린 비에 손쓸 수 없이 번져버리기도 한다.

 

그런 이유로, 얼마 전 미러 노트를 샀다. 그런 걸 파는 건 아니고, 손바닥 크기의 조그만 노트를 사서 친구와 함께 미러(Mirror) 노트라고 이름 지었다. 이곳에 하나씩 적기로 한다. 시간이 지나도 지금의 나를 비춰볼 때마다 금세 알아볼 수 있도록, 아주 이해하기 쉬운 말로 아주 솔직하게 적는다. 다시 생각해도 낯 뜨거운 나의 알량했던 행동들, 누군가에게 느낀 잦은 실망, 저러지만 말아야지 싶었던 행동들까지.

 

싫어하는 것들의 이유를 밝혀두지 않으면, 적어서라도 기억해두지 않으면, ‘조금만 방심해도 나빠지게’ 돼 있는 게 인간이니까. 시간이 흐르면 그간 내가 겪어온 경험이 새로운 이유를 만들어주어, 살아 보니 그렇게 말했던 내가 틀렸더라고 말하게 될지도 모르니까. 노트에 적어 지금의 마음을 미래의 나에게 미리 보내둔다. 아마 이 노트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나빠질 가능성이 더 클 것이다. 그것을 인정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려고 한다. 목표는 제자리걸음! 최선을 다해서, 더 나빠지지만 않는 어른이 되는 것이 지금의 내 바람이다.

 

 

Editor 김신지 sirin@univ.me

Illustrator 전하은


보여줄게 완전히 달라진 나!

국민 주거고민 맞춤형 해결사 등장!


펜타곤 진호 & 오마이걸 효정의 콜라보 무대가 열린다

인스타그램 @univ20에서 4/18(목)까지 초대 EVENT 진행!

 

‘내가 만드는 해치’ 콘텐츠 공모

총 상금 1,740만원, 4월 24일까지 접수!

 

졸업작품에 2,300시간을 쏟은 동국대생

“완벽하게 끝낼 게 아니라면 시작도 안 했어요”

 

최대 240만 원, 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해드립니다

지금 바로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지원하자!

 

코딩을 무료로 배울 수 있다고?

코딩부터 면접까지 취업 올케어

 

문화예술 콘텐츠 기획/창작 취준생을 위한 비대면 무료 교육

총 150명 선발

 

❛지구 반대편에서 할머니의 집밥을 기록합니다❜ 미뇨끼 인터뷰

대한민국에서 우리집 이탈리아의 따뜻한 요리 영상을 만드는 미뇨끼 이야기

 

문화/예술/콘텐츠 분야 취준생을 위한 무료 교육 설명회

문화 예술 기획, 창작 전문가 양성 교육과정

 

1등 500만 원? 놓치면 후회하는 콘테스트

상금 규모에 취하는 '진로 두꺼비 스타일링 콘테스트'

 

네가 싫어하는 것들이 너를 말해준다

 
시리즈 로즈뷰티

어디서도 보지 못한 친절하고 정직한 뷰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