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함이 녹는다, 샤랄랄라
“저… 초밥은 언제 나와요?” “조금만 기다리세요.” 아니다. ‘조금만’이라는 말은 믿으면 안 된다. 한 시간은 기다려야 한다. 자리도 비좁다. 포장하러 온 사람은 기다리다가 화가 나서 씩씩거린다. 나도 먹으러 온 건지 굶으러 온 건지 헷갈릴 지경. 하지만 오랜 기다림이 끝나고 초밥이 놓일 때, 그 기분은 말로 다 할 수 없을 만큼 행복하다. 친구와 나는 1만 3000원짜리 ‘오늘의 초밥’과 1만 6000원짜리 ‘모듬 초밥’을 시킨다.
큼직한 초밥이 6개씩, 2번에 걸쳐 나온다. 참치·연어·광어·연어알 초밥이 그때그때 올라온다. 연어알 초밥을 한입에 넣으니 톡 쏘는 맛이 입안에 감돈다. 배고픔도 포기하고 싶은 마음도 다 참으면서 42.195km를 완주한 선수의 마음이랄까. 세상엔 좋은 스시 코스 요리도 많지만, 난 일본에 놀러갔을 때마저도 ‘경스시’가 떠올랐다.
Editor 조아라 ahrajo@univ.com
‘단짠’말고 ‘단신’
수능을 치르고 나서 처음 술을 입에 댄 지 10년. 늘 신났고 꽤 자주 취했고 가끔 필름이 끊겼다. 숙취의 사전적 의미를 몸으로 느끼게 된 지 10년. 가끔 토했고 꽤 자주 머리가 아팠고 늘 우울했다. 우울증은 세로토닌과 멜라토닌이 부족할 때 찾아온다던데, 날 우울하게 만드는 건 대부분 전날 들이부은 알코올이었다.
뒤집힌 위장은 집 앞에서 파는 순댓국이 달래주고,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은 편의점에서 산 헛개수로 분해 가능하다. 하지만 한껏 우울해진 내 마음은 누가 위로해주지? 같이 술 마신 친구의 말은 가뜩이나 아픈 속을 더욱 후벼 팠다. “엄마가 타 준 꿀물 한 잔 마시면 속이 좀 편안해져.” 꿀도 엄마도 없는 자취방에서 나는 홀로 외로이 몇 그릇의 라면을 끓였던가.
그러다 우연히 지하철역 자판기에서 ‘꿀과레몬’을 발견했다. 꿀+홍삼, 꿀+유자, 꿀+헛개 등 수많은 꿀물 중 독보적인 깔끔함! 데우지 않아도 그 맛만으로 따뜻했고 누가 건네주지 않아도 그 황금 빛깔만으로 위로가 되었다. 앞으로도 난 술 마신 다음 날이면 숙취에 시달리고 우울해지겠지만 전날의나를 탓하지 않으리. 달고 상쾌한 ‘꿀과레몬’ 한 병에 우울 따위 날려 보내리.
Editor 기명균 kikiki@univ.me
엄마가 싫어하는 건 늘 맛있다
어디 가서 꿇리지 않는 미식가이지만, 우울할 땐 맛있는 음식을 안 먹으려고 한다. 등심을 먹든, 지우개를 먹든 똑같이 우울한 맛으로 느껴지니. 대신 직접 요리를 한다. 이름하여 진.짬.뽕. 비웃지 말고 조리 과정을 말해줄 테니 잘 들어 보시라.
우선 물을 냄비에 올려놓고, 냉장고에서 다진 마늘을 꺼내 국물에 넣기 좋게 일발장전시킨다. 고추를 물에 씻어 몸통 부분만 큰 칼로 촵촵 썰어놓는다. 조개와 소라 같은 해산물이 있다면 욕심 내지 말고 2개씩만 꺼내놓자. 마지막으로 냉동실에 얼려놓은 파를 꺼내 파기름을 만든다. 이제 세팅은 끝. 준비한 재료와 면,수프를 동시에 넣은 후 80% 정도 익었다 싶으면 계란을 넣고 그 위에 파기름을 얹어(액상 기름 수프 대신) 뚜껑을 닫는다. 정확히 15초 후 뚜껑을 다시 열면 하나의 작품이 완성된다.
이렇게 분주히 요리에 심취하다 보면 ‘내가 뭣 땜에 우울했었는지’ 까먹을 수밖에 없다. 물론 등심과 지우개보다 훨씬맛있는 요리가 내 앞에 준비되는 건 덤이다. 이제 빠른 스피드로 면을 흡입하기만 하면 된다. 우울한 날, 건강 해치는 맵고 짠맛은 진리일지어니!
Editor 이민석 min@univ.me
엽떡 테라피
잡생각이 많은 편이다. 뭐든 심각하게 생각하고, 일어나지 않은 일을 걱정하며, 극단적인 상황까지 가정하는 게 특기. 그 기분에 둥둥 떠다니며 생각의 골짜기를 더듬는 것도 나쁜 건 아니지만 머리를 탈탈 비워버리고 싶을 때도 많다. 그런 순간 전화할 곳이 있다는 건 얼마나 행운인가. 아저씨, 엽떡 하나랑 주먹밥 하나요.
도착하길 기다리면서 하던 걱정을 마저 한다. 새로운 걱정도 한다. 혼자 사는데 배달원이 이상한 사람이면 어쩌지, 소설을 쓴다. 그러다 눈 앞에 커다란 엽기떡볶이 통이 대령되면 그 순간부터 생각이 멈춘다. 말도 잃는다. “쓰으읍… 하!”가 전부다. 입안에서 느껴지는 통각에 집중하면 머릿속이 아주 심플해진다.
매우니까 주먹밥을 먹고, 좀 괜찮아지면 떡볶이를 먹고, 다시 매우면 쿨피스를 꿀꺽 꿀꺽. 매운 맛에 신음하다 보면 부대꼈던 머리와 마음이 아무 것도 아닌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엽떡 테라피’를 끊을 수 없는 가장 큰 이유다. 덧. 주의할점. 주먹밥은 괜히 파는 것이 아닙니다. 위를 먼저 보호하지 않으면 다음 날 ‘피X’을 면하기 어려울 거예요….
Editor 김슬 dew@univ.me
이게 다 내가 귀여운 탓
우울할 땐 당연히 맥주지만 지면에서 너무 자주 맥주 타령이므로 이번엔 좀 참기로 하고… 두 번째는 역시 매운 음식이지만, 바로 옆에서 엽기떡볶이가 매운맛을 선점해버렸으므로 또다시 생각해본다. 그리하여 우울할 때 세 번째로 생각나는 음식은 단 것… 그중에서도 ‘초코초콜렛’이다!
제주 공천포 바다를 마주하고 있는 ‘카페숑’에서 파는 벨지안 초콜릿 음료는 조금 달콤한 ‘초콜렛’과 더욱 달콤한 ‘초코초콜렛’, 아주 몹시 달콤한 ‘초코초코초콜렛’ 단계별 세 종류로 나뉜다. 나의 선택은 늘 두 번째! 우울하지 않은 사람이 먹어도, 먹는 순간 기분이 +50 업되므로 마치 먹기 전에 우울하기라도 했던 것처럼 여겨진다.
게다가 초코초콜렛 주세요, 라고 말하는 순간 어쩔 수 없이 귀여워지는 것은 덤. 왜 그런 명언도 있지 않은가! 인생이 힘들 땐 역시 내가 좀 귀여운 탓이라고 생각해버리라는. 제주에 있기 때문에 우울하다고 해서 바로 먹을 수 없는 건 함정이지만, 혹시 제주에 가게 된다면 언젠가 우울할 미래의 나를 위해 일단 먹어두자. 우울할 때 꺼내 먹을 수 있는 달콤한 기억이 될 것이다.
Editor 김신지 sirin@univ.me
진짜 호주를 만날 시간
연세우유크림빵과 드라마 덕후라면서요...?
티젠 콤부차 부스에 가다
재미있게 살고 싶다면 매일이 축제라고 생각하며 살아보자.
대학 축제라는 것이 행복한 대학 생활의 추억이 되었으면 좋겠다.
메인 스폰서로 등장한 본디(Bondee)
5월의 문화 리뷰
면접 꿀팁부터 복지까지, 맥도날드 인사팀이 말하는 찐 채용 정보 A-Z.
대학 축제 시즌이면 가장 바빠지는 '부동의 축제왕' 권정열
팬심 폭발하게 만든 ‘메이플스토리 20주년 팬 페스트’ 후기
"축제는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행복의 집합체다"
어디서도 보지 못한 친절하고 정직한 뷰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