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대생과 소개팅을 한 적이 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잘 안됐다. 말도 통하고 취향도 맞아서 느낌이 좋았는데, 걔가 너무 바빴다. 바쁜 시간 쪼개서 만나러 와 주는 건 고맙지만, 만나서도 같이 맹자(;;) 외우자고 해서 기운 빠진 적이 한 두 번이 아니었다. 어린 마음에 ‘나한테 관심이 없구나’싶어서 더 만나지 않았다.
근데 얼마 전 친구와 이야기하다가 우연히 한의대생의 일상에 대해 들었는데 그때 생각이 났다. 핑계인 줄만 알았던 빡센 학교 생활이, 엄살이 아니었다.
역시, 모두에겐 각자의 사정이 있는 법이다. 흔하지 않은 한의대생의 대학생활. 가상 한의대생 체험 게임 <허준 메이커>로 대신 경험해 봤다.
가상 한의대생 체험 게임 <허준 메이커>는 대학내일에서 (가상) 제작한 한의대 체험 시뮬레이션 게임이다. 6년간 무사히 대학 생활을 마치고 좋은 한의사가 되면 게임이 종료된다.
공략 Tip
한문은 한의대 공부의 가장 큰 복병 중 하나. 이번 단계에서는 수업 스케줄의 대부분을 한문으로 채워야 한다. 내가 한의학과에 온 건지 한문학과에 온 건지… 원래 한문 능력치가 높은 캐릭터라 할지라도, 생소한 의학 용어나 문법의 습격을 받으면 멘붕 할 수 있으니 주의하자. 참고로 본과 1학년을 거치고 나면, 한자로 된 본초학 약재 이름 400여개가 통째로 머릿속에 들어 있어야 한다.
공략 Tip
<허준 메이커>에서는 동기 선배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다른 과와 달리 휴학하는 사람도 거의 없고 시간표도 정해져 있기 때문에, 함께 입학한 동기와 6년을 함께한다고 보면 된다. 본과생이 되면 서로의 몸을 실습용 마루타로 쓸 정도로 친밀해진다. 타과생과 교류할 일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CC이벤트가 자주 발생하는 편인데 신중해야 한다. 6년 내내 같은 수업을 들어야 하는 동기보다는, 선배나 후배가 위험 부담이 적은 편이다.
공략 Tip
플레이 중간중간 외부에서 연락이 오는데, 이는 캐릭터의 스트레스 지수를 높이는 부정적인 이벤트다. 주로 침을 놔 달라고 하거나, 약을 해 달라는 요구가 많다. 개별 이벤트로는 큰 타격이 없지만, 쌓이면 무시하지 못할 스트레스가 되니 주의하자. 시험 기간 같은 특수한 상황에는 더욱 조심해야 한다.
공략 Tip
<허준 메이커>에는 유급 제도가 있다. 평균 학점이 2.0을 넘지 못하거나, 전공과목 중에 한 과목이라도 F학점이 나오면 유급이다. 유급이 되면 1년을 강제로 쉬어야 한다. 한 학번당 유급 비율은 최대 10%정도. 공부를 성실하게 했다면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지만, F가 하나만 떠도 유급이므로, 까다로운 교수를 만났다면 긴장해야 한다.
공략 Tip
앞서 설명했지만, 한의대는 공부를 정말 많이 해야 한다. 일단 양방과 한방 모두 알아야 한다. 또 다른 학문은 학년이 올라가면 익숙해지면서 편해지지만, 한의학은 스테이지마다 새로운 고비가 나타난다. 예과에서 한문을 깨고 나면, 본과에서 해부학과 본초학이 나오는 식이다.
공략 TIP
<허준 메이커>의 엔딩은 크게 세 가지다. 대부분은 큰 병원에 레지던트로 들어가거나, 한의원의 부원장 자리를 구직한다. 졸업하고 바로 개원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사람들이 경험이 많고 나이 많은 한의사를 선호하기 때문에 망할 위험이 상대적으로 큰 엔딩이다. 또 이 경우에는 지방으로 내려가는 것을 각오해야한다. 극소수의 운 좋은 플레이어들은, 부모님이나 친인척이 하는 한의원을 물려받기도 한다.
그리고 어떤 엔딩을 봤건 간에, 공부를 계속해야 한다. 6년도 충분히 길었는데. 공부를 더 해야 한다니. 그것도 평생. 역시 허준 같은 명의가 되는 길은 쉽지가 않구나. 게임만 했는데도 지치는 기분. 오늘도 허벅지를 찌르며 공부를 하고 있을 한의학도 여러분 힘내십쇼! 리스팩!
illustrator 백나영
대외활동부터 문화생활까지. 꿀팁 저장소
ep01. 개강이라니! by 고굼씨 툰
3월의 문화 리뷰
이렇게나 좋은 혜택들이 많기 때문에
시작은 언제나 서툰 법이다.
'완벽한 시작'이라는 덫에 걸린 대학생에게
대학내일 표지모델이 3년만에 돌아왔다.
어디서도 보지 못한 친절하고 정직한 뷰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