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뉴스룸>에서 손석희 아저씨가 커닝이 조선시대부터 이어져 왔다고 하더라고요. 과연 민족 문화가 맞는 것 같아요. 대학에 와서 커닝이 대학생이라면 꼭 해봐야 하는 필수 교양처럼 여겨지는 현장을 여러 차례 목격했거든요. 첫 시험 기간, 동기들 중 70~80%가 커닝페이퍼를 만들더라고요. 안 만드는 제가 이상하게 느껴질 지경이었어요. 심지어 오픈 북 시험에서도 굳이 커닝을 하는 거예요. 이쯤 되면 커닝 중독이라고 봐도 좋지 않나요?

 

방법이랄 건 없어요. 사실상 대놓고 하니까. 누가 봐도 수상하게 맨 뒷자리에 다닥다닥 붙어서 자기들끼리 열심히 답을 공유하거나, 손가락에 써서 슬쩍 보는 거죠. 옆자리 친구들 눈이 무섭지 않냐고요? 다들 보이니 보겠지만, 어차피 그 친구들도 같이 하고 있는 걸요. 그나마 요새는 음료수나 필통에 쓰는 건 너무 일차원적이라 걸릴까봐 안 하더라고요. 대신 펜이나 지우개 포장지에 쓰는 거예요. 3포인트 깨알 글씨로. 아… 환멸. 이 정도 정성을 들일 시간에 차라리 공부를 하겠어요.

 

물론 커닝이 발각되면 바로 시험지를 찢고 F를 주는 교수님도 계세요. 각 과에 한 분 정도밖에 안 계시다는 게 함정이지만. 커닝을 일상적으로 하는 친구들 덕분에 학교 커뮤니티에는 이런 교수 평가가 공유되기도 해요. ‘시험감독 안 철저하심.’ 그걸 노리고 수강신청 하는 애들도 많고요. 교수님 성향이 당장 1학기 만에 바뀌진 않을 테니까. 하긴 매 학기 커닝이 성황리에 이뤄지는 것도 다 교수님들 덕분이죠.

 

귀찮음에 아예 조교를 시험감독으로 섭외조차 안 하시는 것도 문제이지만, 커닝 한 번에도 학점 변별력이 사라지도록 시험을 대충 내시는 것도 큰 문제죠. 오픈 북을 해도 쉽게 쓰지 못할 정도로 어렵게 내신다면, 커닝이 다 무슨 소용이겠어요. 썼던 시험지 매년 다시 쓰는 건 기본이고, 시험 검수가 오래 걸리니 객관식으로 많이 내야겠다는 말씀도 서슴지 않으시죠. 대체 뭐가 그리 힘드신 건지 모르겠어요. 어차피 조교들이 검수하는 거 다 아는데.

 

학생들의 저열한 윤리 의식과 교수님의 무관심 컬래버는 경악할 만한 커닝 사건을 만들어 내기도 해요. 대나무 숲에도 올라온 적 있는데요. 논문 마감일이라 엄청 바쁘셨던 교수님이 “난 너희를 믿겠다”며 시험 시간에 나가버리신 거예요.

 

 

마흔 명의 수강생 중에 한두 명을 제외하고 모두가 오픈 북 커닝을 했죠. 하필 제가 그 두 명 중 하나였고요. 공론화가 됐는데도, ‘다시 시험지 만들기 힘들다’는 이유로 재시험은 없었어요. 양심을 지켜 시험 본 애들만 망한 거죠. 성적의 80%를 결정할 중요한 시험이었고, 전 C+을 받았네요. 필수 교양이지만 재수강은 안 하려고요. 너무 상처받아서요.

 

문제 제기를 해봤자 교수님에게는 귀여운 투정 정도로 보이나 봐요. 쪽지 시험이 굉장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 또 다른 수업이었어요. 제 옆에 앉은 친구가 대놓고 커닝을 하더라고요. 두 번까지도 그냥 넘어갔지만, 세 번째에는 도저히 못 참겠어서 교수님께 메일을 드렸죠. 그랬더니 돌아온 답은 “몰랐다. 앞으로 주의해서 보겠다”. 물론 네 번째 쪽지 시험에 그 친구는 또 커닝을 했고, 저도 다시 메일을 드렸죠. 그랬더니 교수님의 대답은? “나는 못 봤다.” 그러곤 바로 다음 수업 때, 임의로 ‘쎈 캐’들만 모았다며 저를 포함해 조를 묶어주시더라고요.

 

이러니 정의가 실현될 거란 기대 자체를 안 할 수밖에요. 저한테 최선은 일부러 깐깐한 교수님 수업만 골라 듣는 거예요. 어차피 성적이 안 나올 거라면 시험이라도 공정하게 치르는 게 낫죠. 간혹 시험 기간에 “너희 시계도 보지 마. 내가 10분마다 칠판에 써줄 테니까.” 이런 유니콘 같은 교수님 만나면 너무 설레요.

 

아무리 쓴소리를 해도 커닝 할 사람은 계속 하겠죠. 2학년 때였나, 친한 친구가 커닝하고 성적을 잘 받아서 괜히 민망했나봐요. “나 커닝했는데 학점 4.0 넘었다!”고 자랑하더라고요. 너무 열 받았지만 웃으면서 “그게 자랑할 일은 아니지 않아?”라고 좋게 말했는데요. 주변 친구들까지 분위기가 싸해지더군요. 다들 커닝에서 자유롭지 않으니까. 저만 바른 척하는 ‘진지충’이 되어버린 거죠.(웃음)

 

근데 정말 부탁할게요. 커닝 할 거면 최소한 본인의 죄를 가볍게 포장하지는 마요. 공으로 학점을 가져갔으면, 죄책감은 가져야죠. 고등학교 내신보다야 덜 중요하니까, 아직 저학년이라 취업이 중요하지 않으니까. 자기 합리화도 그만해요. 사기 쳐서 받은 4.0이 무슨 의미가 있나요? 전 평점은 낮아도 스스로한테는 떳떳해요. 그래서 님들이 달라지지 않는다고 해도 꾸준히 공식적인 루트로 고발하려고요. 부디 앞으로도 되도록 내 눈에 띄지 말아요.

 


[870호 – 20’s but]

졸업할 때까지 양심적으로 시험을 치르겠다는 20대와의 인터뷰를 옮겼습니다


대학생 신선원정대 1기 모집

유통업계의 모든 것을 경험해보세요!


시작이 어려운 이유 <더 글로리>, <더 웨일>

3월의 문화 리뷰

 

농식품분야로의 진로를 꿈꿔도 괜찮은 5가지 이유

이렇게나 좋은 혜택들이 많기 때문에

 
시리즈20's Voice

또 하나의 마디를 채울 우리에게

시작은 언제나 서툰 법이다.

 

이 세상의 모든 시작은 다 서툴고 보잘것없다.

'완벽한 시작'이라는 덫에 걸린 대학생에게

 
시리즈표지모델

표지모델! 고려대학교 행정학 18 김민우

대학내일 표지모델이 3년만에 돌아왔다.

 

여러분의 에세이를 기다립니다

대학내일 온라인 매거진 대학생 에세이 모집

 

나는 커닝을 극혐하는 20대입니다

 

나는 커닝을 극혐하는 20대입니다

 

나는 커닝을 극혐하는 20대입니다

 

나는 커닝을 극혐하는 20대입니다

 
시리즈 로즈뷰티

어디서도 보지 못한 친절하고 정직한 뷰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