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이 밝았다. 이 말은 즉, 나의 졸업이 채 두 달도 남지 않았다는 것이다. 대학 생활 4년과 휴학을 했던 1년, 총 5년의 시간이 머릿속에 주마등처럼 스쳐 지나간다. 입학한 지가 엊그제 같은데 벌써 졸업이라니….

 

‘엊그제’라는 단어가 과장된 표현으로 들릴지 모르겠지만, 나는 정말 입학한 지 얼마 되지 않은 것 같은 느낌이 든다. 사람들은 졸업을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이라고들 하던데… 나는 왜 이렇게까지 그 시작이 반갑지 않은 건지. 괜히 혼자만 아쉬움에 유난을 떠는 것 같아 씁쓸한 기분마저 들었다.

 

졸업이 이토록 아쉬운 이유는 유독 내 대학 생활만 후회로 얼룩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세상에 후회 없는 사람은 없다지만, 과거를 곱씹을수록 나에겐 유난히 아쉬운 기억들만 떠오른다. 학점 관리를 더 열심히 했더라면, 토익 성적을 미리 만들어 뒀더라면, 대외활동을 좀 더 했더라면, 낯가리지 말고 사람을 많이 만났더라면, 술을 작작 마셨더라면, 돈을 아껴 썼더라면…. 잘한 건 하나도 기억이 나질 않고, 온통 후회투성이인 기억들만이 머릿속을 떠다닌다.

 

안다. 후회해봐야 소용없다는 걸. 과거는 과거일 뿐이고, 아무리 후회해봤자 돌이킬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어영부영 지내다 보니 나이만 먹은, ‘무늬만 어른’이 되어버린 것 같은 기분을 지울 수 없지만 뭐 어쩌겠는가? 이런 모습도 결국 나인 것을. 상투적인 말이지만 과거야 어찌 되었든 현재의 내 모습을 받아들이는 수밖에.

 

그래서 꾸역꾸역 내 대학 생활의 쓸모를 되짚어 봤다. 돌이켜 보니 산더미 같은 후회 속에서도 의외로 괜찮은 구석을 찾을 수 있었다. 대학 생활은, 애매하게나마 아는 척할 수 있는 전공 지식과 몇 안 되지만 누구보다 소중한 친구들을 남겨줬다.

 

‘세상은 넓고 돌+아이는 많다.’라는 진리(?)를, 가끔 떠올려보면 웃픈 흑역사를, 풋풋했던 연애의 추억을 선물해준 것 역시 대학 생활이다. 무엇보다 그 시절의 나는 행복했다. 노트북 어딘가에 보관되어 있는, 캠퍼스를 배경으로 한 사진들을 꺼내 보기만 해도 그때의 즐거움이 생생하게 떠오를 정도로.

 

 

나처럼 졸업을 앞둔 예비 졸업생들에게 전하고픈 말이 있다. 우린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꽤 괜찮은 대학 생활을 했다. 그러니 사회에 나가는 것이 무섭고, 대학이란 울타리를 벗어나면 사라질 소속감이 두렵고, 끊어질지 모를 인연들이 아쉽고, 취업의 높은 문턱이 힘겹더라도 해 놓은 것이 없다며 스스로를 자책하지는 말자. 너무 조급해하지도 말고. 학교 안에서는 비록 암모나이트, 화석, 조상님, 늙은이 등의 애칭으로 불리는 우리지만, 우린 여전히 너무나도 젊고 싱그럽고 아름다운 청춘이다.

 

이 사실을 잊지 않고, 느리더라도 묵묵하고 꿋꿋하게 나만의 길을 걸으려고 한다. 비록 우리의 대학 생활이 고등학교 때 드라마 <응답하라 1994>를 보면서 상상했던 낭만적인 캠퍼스 라이프는 아니었을지라도 말이다. 성나정과 쓰레기처럼 사랑을 이루지도 못했고, 칠봉이처럼 근사한 꿈을 실현하지도 못했지만 그래도 내가 주인공인 ‘내 인생’이라는 드라마가 아직 남아있지 않은가.

 

우리의 드라마는 이제 1~2화를 막 시작했다. 주인공의 해피엔딩을 위해서는 고난과 역경이 필요하듯이, 우리에게도 수많은 시련이 찾아올 수 있다. 하지만 겁내지 말자. 우리는 아직 젊고, 가능성으로 가득 차 있으니까. 그러니 새해와 함께 찾아온 시작의 순간이 썩 반갑지 않을 땐, 주문을 외워보자. ‘내가 주인공인 이 드라마의 끝은 반드시 해피엔딩일 것이다!’라고.

 

*여러분의 에세이를 기다립니다. magazine@univ.me로 원고지 10매 이내의 글을 보내주세요. 


[876호 – 20’s voice]

Writer 최담이 ekadl777@hanmail.net

졸업 후가 더 기대되는 싱그러운 청춘입니다.

 


아웃 캠퍼스를 아직도 모른다고?

대외활동부터 문화생활까지. 꿀팁 저장소


대학(원)생에게만 주어지는 게임 무제한 이용권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이용중이라면 꼭 챙겨야 할 혜택이라는데?

 

개강하는 대학생

ep01. 개강이라니! by 고굼씨 툰

 

시작이 어려운 이유 <더 글로리>, <더 웨일>

3월의 문화 리뷰

 

농식품분야로의 진로를 꿈꿔도 괜찮은 5가지 이유

이렇게나 좋은 혜택들이 많기 때문에

 
시리즈20's Voice

또 하나의 마디를 채울 우리에게

시작은 언제나 서툰 법이다.

 

이 세상의 모든 시작은 다 서툴고 보잘것없다.

'완벽한 시작'이라는 덫에 걸린 대학생에게

 
시리즈표지모델

표지모델! 고려대학교 행정학 18 김민우

대학내일 표지모델이 3년만에 돌아왔다.

 

새로운 시작이 반갑지 않더라도

 

새로운 시작이 반갑지 않더라도

 

새로운 시작이 반갑지 않더라도

 
시리즈 로즈뷰티

어디서도 보지 못한 친절하고 정직한 뷰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