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의 고민

불수능 피해자야(국어 31번 부들부들). 모의고사 때보다 수능 점수가 훅 떨어져서 원하던 학교에 가지 못했어. 재수는 자신 없어서 입결 맞춰 대학에 들어왔지만… 목표했던 학교 못 간 게 생각할수록 아쉬워. 그래서 반수를 고민 중인데 실패하면 죽도 밥도 안 될까봐 겁은 나고. 나 반수 할까? 말까? 

19학번, 불수능 피해자인 익명의 스무 살


반수 꼭 해!

올 F 성적표 받고, 올인 하면 성공할 수밖에 없어


뭐, 반수하게 된 사연은 다들 비슷할 테니까 과감하게 패스! 난 적성에 안 맞는 전공을 선택하는 바람에 반수 결심을 굳혔어. 한 학기 정도 학교생활을 했지만 원하는 공부를 할 수 없어서 마음이 계속 콩밭에 가있었거든.

 

‘고3 때 열공 할 걸.’ ‘재수 할 걸.’ 내내 후회만 했지. 이러다간 나중에 미련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 같아서 더 늦기 전에 반수를 맘먹었어. 결론부터 말하자면 나의 반수 라이프는 大성공! 지금 원하는 학교에서 원하는 공부를 하며 행복하게 지내고 있어.

 

결과가 좋아서 그런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 쉽지 않단 걸 알면서 도전을 결심하고 열심히 해낸 나 자신이 대견해. 설사 실패했더라도 후회하지 않았을 거야.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 손에 쥔 걸 포기하고 최선을 다했던 시기였으니까. 적어도 인생 공부는 됐지.

 

반수 준비한다고 하면, 이미 대학 물을 먹었기 때문에 실패할 확률이 높지 않느냐고 묻더라? 응, 아니야. 전략만 잘 짜면,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다고. 사실 나도 입 반수(?)를 하며 5월 축제 때까지 실컷 놀았어. 그러다 정신 차리고 전략을 짰지. 바로 배수의 진 치기!

 

5월부턴 학교에 안 나가고 수능 공부에만 매달린 거야. 수업을 다 빠졌으니 성적은 당연히 올 F. 여름 즈음 성적표를 받고, 학교에 돌아가기 글렀다는 생각이 드니까 공부에 더 집중하게 되더라. 내 전략은 극약 처방이긴 하지만, 각자 스타일에 맞춰 전략을 짠다면 충분히 승산 있다고 봐.

 

물론 수험 공부로 1년을 더 보낸다는 게 쉽지 않단 건 잘 알아. 그럴 땐 ‘반수가 끝나도 내 청춘은 남아있다’는 생각으로 멘탈을 다잡아봐. 당장은 반수하는 1년이 아깝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그래 봤자 1년이야. 하고 싶은 걸 하는 데 고작 1년도 못 써? 성공하든 실패하든 의미 있는 스물한 살을 맞이할 수 있을 거야. 그러니까, 너무 늦기 전에 도전하길!

16학번 김정민, 반수의 승자


반수하지 마!

예서급 독종 아니면 결과는 뻔해, 실패 ^^


일단 전제 조건 하나 달게. “나는 이 구역의 독종이다!” 하는 사람 있어? 그런 사람이라면 반수해! 실패하면 접시 물에 코 박을 각오로. 그런데 3월의 캠퍼스를 만끽하며 독기가 다 빠져버린 평범한 대다수 대학생들은 반수 시작도 하지 마. 왜냐고? 실패할 게 뻔하니까…☆

 

공부하다 동기가 부르면 술 마시러 나가며(=나) 애매하게 반수하느니, 그냥 캠퍼스 라이프를 즐겨! 나도 처음엔 핑크 빛 미래를 꿈꾸며 반수를 시작했지. 예서급 목표(a.k.a 서울 의대)… 까진 아니지만, 더 좋은 학교에 가고 싶었으니까.

 

그래서 보험용으로 학교 등록만 하고 바로 휴학해서 반수 준비하려고 했는데, 1학년 1학기는 휴학이 안 된다는 거야! 반수의 비극은 여기서부터 시작돼. 1학기는 학교생활과 수능 공부를 병행해야 된다는 거!

 

중간고사 준비하면서 EBS 교재 풀어야 되는 심정을 너희가 알아? 인강 들어야 되는데 MT는 가고 싶은 그 심정을 아냐고! 게다가 나만 열심히 한다고 반수에 성공할 수 있는 것도 아냐. 교육과정은 자주 바뀌고, 원서 잘 쓰는 건 로또 맞는 것만큼 어려우니까. 한 마디로 운 나쁘면 반수 1년간의 노력이 물거품이 된다는 거지.

 

내 예를 들어줄까? 내가 반수 준비했을 때 갑자기 수능 영어에 절대평가가 적용돼서 역풍을 맞았어.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입시 사이트에서 소신 지원이라고 뜬 학교에 지원했는데 추합 마지막 날까지 예비 번호조차 못 받았고. 수능을 못 본 것도 아닌데, 눈치 게임에서 진 거지….

 

반수를 하지 않았더라면, 좀 더 반짝반짝한 대학생활을 할 수 있었을 것 같아. 돌이켜 보니 스무 살은 인생에서 유일하게 아무 걱정 없이 즐길 수 있는 시기인 것 같더라고. 나는 그 때를 반수라는 어두운 터널에서 보낸 거잖아. 그 시기에만 얻을 수 있는 귀한 것들을 놓친 게 두고두고 안타까워. 조금 살아보니, 세상엔 대학보다 중요한 게 더 많더라.

17학번 황우태, 반수한 걸 후회 중인 3학년


+tip 1

시간표가 반수 성패 좌우한다

반수하기로 맘먹었다면 시간표를 짤 때 신중해야 돼. 전공 수업은 최대한 적게 듣고 P/F 과목을 듣는 것을 추천! 그래야 혹시나 실패 후 학교에 돌아오게 되더라도 리스크가 적거든.

+tip 2

진로 포함! 목표는 구체적으로 잡자

술, 동기(친구)…. 반수러들을 유혹하는 요소야. 목표를 분명하게 잡지 않으면 무너지게 마련. 단순히 ‘지금보다 좋은 학교’가 아닌, 진로를 포함한 목표를 구체적으로 설계해두는 것이 좋아.

+tip 3

적당한 과 생활은 이롭다

반수를 한다고 해서 아예 ‘아싸’가 되는 건 위험해. 혹시 돌아오게 될 때를 대비해 친한 동기 한두 명 정도 만들어두는 것이 좋거든. 안 그럼 실패했을 때 학교생활이 너무 외로울 거야ㅠㅠ


[881호 – Do or Don’t]


아웃 캠퍼스를 아직도 모른다고?

대외활동부터 문화생활까지. 꿀팁 저장소


대학(원)생에게만 주어지는 게임 무제한 이용권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이용중이라면 꼭 챙겨야 할 혜택이라는데?

 

개강하는 대학생

ep01. 개강이라니! by 고굼씨 툰

 

시작이 어려운 이유 <더 글로리>, <더 웨일>

3월의 문화 리뷰

 

농식품분야로의 진로를 꿈꿔도 괜찮은 5가지 이유

이렇게나 좋은 혜택들이 많기 때문에

 
시리즈20's Voice

또 하나의 마디를 채울 우리에게

시작은 언제나 서툰 법이다.

 

이 세상의 모든 시작은 다 서툴고 보잘것없다.

'완벽한 시작'이라는 덫에 걸린 대학생에게

 
시리즈표지모델

표지모델! 고려대학교 행정학 18 김민우

대학내일 표지모델이 3년만에 돌아왔다.

 

반수 할까? 말까?

 

반수 할까? 말까?

 

반수 할까? 말까?

 
시리즈 로즈뷰티

어디서도 보지 못한 친절하고 정직한 뷰티!